1. 템플릿 리터럴
- ES6부터는 백틱으로 감싼 문자열 리터럴을 사용할 수 있다.
ex) let s = `hello world`
- 백틱내에서 ${ }으로 감싼 안에 일반변수를 넣으면 해당값이 문자열로 결합되어 출력된다.
ex) let name = "Bill";
let greeting = `Hello ${name},`;
결과) greeting => "Hello Bill."
2. 패턴 매칭
- 정규 표현식(RegExp) 데이터 타입
- 슬래시 한 쌍 사이에 텍스트를 씀
ex) /^HTML/; → 문자열의 시작 부분에 있는 HTML에 일치
/[1-9][0-9]*/; → 0이 아닌 숫자가 하나 있어야 하고 그 뒤의 숫자는 제한이 없음
/\bjavascript\b/i; javascript가 한 단어로 들어가야 하고 대소분자를 구분하지 않음
- 사용 방법
ex) let text = "testing: 1, 2, 3";
let pattern = /\d+/g ; → 연속된 숫자 전체에 일치
pattern.test(text) → true : 패턴이 맞는것이 존재
text.search(pattern) → 9 : 첫 번째로 일치하는 부분의 위치
text.match(pattern) → ["1","2","3"] : 일치하는 부분이 모두 포함된 배열
test.replace(pattern, "#") → "testing: #, #, #"
test.split(/\D+\) → ["", "1","2","3"] : 숫자가 아닌 것에서 나눔
3. Boolean
- true, false 두가지 값만 존재
- 모든 값은 true, false 값으로 나타낼 수 있음
- false : undefined, null, 0, -0, NaN, ""(빈문자열)
- if (a!==null) → if(a) 와 동일한 기능 작동(null이면 false가 되기때문임)
- a && b → a와 b의 조건식이 모두 참일때 실행
- a || b → a와b 조건식 중 하나라도 참일때 실행
4. null
- 객체가 없음을 나타냄
- typeof 연산자를 사용하면 object를 리턴
5. undefined
- 객체의 값이 없음을 나타냄
- typeof 연산자를 사용하면 undefined를 리턴
- 발생 시점 및 사유
1) 초기화되지 않은 변수값,
2) 존재하지 않은 객체 프로퍼티 및 배열 요소 접근시 발생
3) 값을 명시적으로 반환하지 않은 함수의 반환값
4) 전달되지 않는 인자의 값
'Javascript > 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JS 타입, 변수 | 타입 변환 (0) | 2022.05.21 |
|---|---|
| JS 타입, 변수 | Symbol, 전역 객체, 객체 참조 (0) | 2022.05.21 |
| JS 타입, 변수 | 문자열 (0) | 2022.05.15 |
| JS 타입, 변수 | 숫자 (0) | 2022.05.14 |
| JS 타입, 변수 | 기본 특징 (0) | 2022.05.14 |